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활용능력 2급 필기

컴활 2급 필기 - 주소 지정 방식

반응형

주소의 지정 방식

 

접근 방식에 의한 지정 방식

 

직접 주소 지정 방식

주소 부분의 값이 실제 데이터가 있는 주기억 장치의 주소를 나타내는 방식

메모리 참조 횟수는 1회

 

간접 주소 지정 방식

주소 부분에 지정한 기억 장소의 내용이 실제 데이터가 있는 주소로 사용되는 방식

메모리 참조 횟수는 2회 이상

 

즉시 주소 지정 방식

주소 길이의 제약으로 모든 데이터의 표현이 어려움

명령어 주소 부분의 값 자체가 실제 데이터가 되는 구조

주기억 장치의 참조가 없어서 속도가 빠름

메모리 참조 횟수는 0회

 

묵시적 주소 지정 방식

스택 구조의 0주소 방식

주소 부분이 묵시적으로 정해져 있는 방식

메모리 참조 횟수는 0회

 

계산 방식에 의한 주소 지정 방식

데이터의 기억 위치를 명령어 주소 부분에 있는 값과 특정 레지스터에 기억된 값을 더하여 지정하는 방식

 

인덱스 주소 지정 방식

인덱스 레지스터 주소 부분의 값을 더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상대 주소 지정 방식

프로그램 카운터와 주소 부분의 값을 더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베이스 주소 지정 방식

베이스 레지스터의 값과 주소 부분의 값을 더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기억 장소와 연관성이 있는 주소 지정 방식

 

절대 번지 

기억 창치의 고유 번지로 16진수로 약속해 순서대로 정해놓은 번지

기억 장소를 직접 숫자로 지정하는 주소

기계어 정보가 기억돼 있음

장점 : 간편함, 단점: 기억 공간의 효율이 떨어짐

 

상대 번지

별도 지정되어 있는 번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낸 번지

절대 번지는 상대 번지와 기준 번지를 더해 구할 수 있음

장점 주소 지정 용이, 기억 공간의 효율이 좋음, 단점 복잡함

반응형